2018. 10. 16. 03:14 삶의 한때

연구실에 세네갈 출신 동료가 있다. 개인적으론 하나도 안 친하다. 일년에 반은 세네갈 가서 필드웤하고, 취향도 잘 맞지는 않는 듯. 하지만 연구 성실히 하고 논문 열심히 쓰는 모범적인 박사생이라 만나면 반갑다.
그런데 예전엔 별로 신경을 안 썼는데, 작년 가을에 두어 달 만나면서 이 친구가 "한국식 사고방식으로 퉁쳐서 말하자면" 좀 무례한 타입일 테고, 디테일하게 말하자면 남한테 관심이 정말 없을 뿐 아니라 연구실에서 나한테 자잘한 걸 부탁하면서 별로 고마워하지도 않는다는 판단을 내렸다...
내가 뭐 악감정 품은 건 아니고, 하여간 만나면 인사만 반갑게 하는 사이. 그러다 오늘 연구실 문 관련해서 관련해서 의견이 갈렸다. 나는 연구실 뒷문을 잠구고 한쪽으로만 출입해서, 구석에 조용한 자리를 만들자는 거고, 친구는 프린터에 출력물 찾으러 가기 편하게 그 문을 개방하자는 거다.
그 의견도 틀린 건 아니지만, 하여간 나는 "그건 네 선호일 뿐이고, 나는 연구실에 구석진 자리가 있는 게 좋다. 누가 나 글 쓰는데 뒤로 다니는 거 싫어한다."고 확실히 이해를 시켰다. 전 같으면 얘기하다 말았을 텐데, 어쨌든 내 의견을 끝까지 주장했고, 그녀도 일단 납득했다.
어차피 누가 책장 옮겨서 뒷문 완전히 막지 않는 한, 서로 갑론을박하는 게 큰 의미는 없다. 책장 옮겨서 뒷문 폐쇄하는 것도 나 아니면 딱히 나설 사람 없다... (연구실 문 고장나서 못 잠그다가 아무도 얘기 안 해서 내가 건물 관리팀에 메일 보내고 건물 행정실 쫓아다니고, 연구소 행정직원한테 압력 좀 넣으라고 메일 보내고 해서 다섯 달 만에 고침)
하여간 고집이 있고 말투 센 그녀에게 내가 힘 팍 주고 기 싸움에서 안 밀리고, 나처럼 구석진 자리가 필요한 이용자가 있다는 걸 이해를 시키고, 존중을 받아냈다. 큰일도 아닌데, 남의 나라에서 남의 나라 말로 이 작은 걸 얻으려고 난 존재를 거는 기분;; 아직 어색하지만 킵 고잉. #나는늑대와함께달린다

posted by amiedame